쌍계사

2019. 7. 27. 16:54기타사진 ^_^


쌍계사 ~ 화엄사 다음으로 큰 절인 쌍계사는 경남 하동군 용강리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 선덕왕 22년 (723년) 옥천사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안강왕(886년)이 쌍계사라고

              이름을 고쳤다. 이곳에는 진감선가를 기리기 위해 최치원이 글을 짓고 쓴 글이 음각된

              진강선사 대공탑비가 유명하며 추사 김정희의 휘호 '세계일화조종육엽'이 대웅전에

              있다. 쌍계사에는 또한 섬진강 강변 국도에서 절까지 이르는 벚꽃 터널이 있어 봄이면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는 곳이다. 또한 주차장에서 절집까지 이르는 길에는 우거진

              숲으로 마치 산림욕을 하는 것같은 상쾌함을 준다. 쌍계교를 지나면 쌍계사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쌍계와 석문'은 고운 최치원 선생의 글씨로 , 지리산 전체가

             그렇지만 특히 화개골을 중심으로 해서 신선이 되고자 했던 고운 최치원선생의

             족적이 곳곳에 새겨져 있는 곳이다.

쌍계사 일주문 ~ 일주문은 속세에서 벗어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오는 첫 관문으로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수도하고 교화하라는 뜻으로 세운 문이다. 이 문은 1641년

                      (인조19)에 벽암 스님이 지었다고 하며, 1977년에 고산스님에 의해 증수되었다.

                      쌍계사 일주문은 겹처마로 이루어진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처마를 받쳐주는 기둥머리의 장식은 역삼각형의 거대한 모습을 하면서도 출목의

                      간격이 넓고 가늘어 섬세하고 화려한 느낌을 준다.

                      넓은 지붕을 가졌음에도 받침기둥을 하지 않고 대신 기둥 전후에 보조기둥을

                      설치함으로써 지붕의 안전성을 유지하였다. 일주문으로서는 드물게 팔작지붕인

                      데다가 기둥머리 장식의 부재가 가늘고 섬세하여 장식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조선시대의 양식보다는 근대적 성격의 건물이라 할수 있다.

                                                         쌍계사 지도

                            이끼긴 계곡과 대나무가 멋진 쌍계사 입구다 .

쌍계사 천왕문 ~ 천왕문은 일주문과 금강문 다음으로 통과하는 세 번째 문으로 사천와상을

                       모신 전각이다. 사천왕은 부처에 귀의하여 불법을 수호하고 수도승과 불자를

                       돕는 사방의 수호신으로 수미산을 중심으로 동쪽은 지국천왕 서쪽은 광목천왕

                       남쪽은 중장천왕 북쪽은 다문천왕이다.

                       쌍계사 천왕문은 1740(숙종30)에 백봉스님이 창건하였고 1825년 (순조25)과

                       1978년에 다시 중수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의 건물로 공포를

                       간략하게 처리하여 소박하고 단아한 느낌을 준다. 한편 천왕문 사천왕상은

                       목조로 조성 기법이 뛰어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13호 (2004년10월21일)

                       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베롱나무 곱게핀 대웅전 앞에서 ~



                                      소나무와 돌계단이 멋진 풍경이다 .

                                                   베롱나무아래서 ~



                                            곱게 핀 수국이 여심을 흔드네 ~

쌍계사 석등 ~ 대웅전 앞에 서 있는 석등은 절안의 어둠을 밝힐 뿐만 아니라 빛으로 부처님의

                     진리를 비춤으로써 중생을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쌍계사 석등은 등불을 놓는 화사석이나 지붕들과 같은 중요한 부분이 있어서

                     원형을 알기어렵다. 위 받침돌은 여덟 폭의 연꽃부리가 위로 향하도록

                    조각하였으나 아래 받침돌은 반대로 꽃부리를 아래로 향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받침돌에 새겨진 연꽃무늬는 입체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된 반면,

                    석등의 중앙부 기둥은 가늘고 길며 단순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원래의 형태는 알기 어렵지만,받침돌에 새겨진 치밀한 연꽃무늬와 중앙 기둥의

                    단조로운 처리 등을 볼 때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쉽게 볼수 없는 황토담아래 정겨움이 묻어난다 .






쌍계사 불경 목판 ~ 화엄전은 쌍계사 불경 목판을 보관한 전각이다.불경 목판은 1603년 에서

                           1903년까지 여러 차례 재작된 것이다. 수많은 불경과 불교 관련사적

                           등으로 총 36종 1743매이다. 우리나라에서 쌍계사는 해인사 다음으로

                           많은 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셈이다.

                           쌍계사의 말사인 능인암에서 간행하여 쌍계사로 옮겨온 것이며, 나머지는

                           쌍계사 본사와 국사암, 칠불암 등에서 간행한 것이다.

                           능인암판은 대부분 1603 ~ 1604년에 국사암판은 1903년에 간행되었으며

                           그 나머지의 것들은 17세기와 18세기에 간행되었다. 쌍계사 화엄전에

                           보관된 부령 목판은 쌍계사의 오랜 역사와 함께하여 400여년에 걸친 목판의

                          변천사를 보여준다 .한편, 국보 제47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가 훼손

                          되어 있지만 1726년 (영조2)의 "유당신라국지리산쌍계사교시진갑선시비영

                          병서음각판"의 목판이 있음으로 그 내음을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쌍계사 불경 목판을 통해 각 시기 많이 얽힌 불경의 종류와 당대를 살았던

                         고승의 자취를 느낄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불교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해준다.                     


                                             쌍계사 수국의 아름다움

쌍계사 마애불 ~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특이한 모습의 마애불이다.

                        큰 바위에 두터운 돌을 새김으로 불상을 새기고 불상의 둘레를 깊이 파내,

                        감실에 모셔진 부처와 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머리가 크고 살집이 많은

                        얼굴에 어깨까지 쳐진 귀는 자비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부처의 손은 법의로

                        덮여 있는데 전체적인 모습이 아주 소박하여 부처라기보다는 승려의 모습과

                        같은 마애불이다.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 ~ 신라말의 명승 진감선사 해소의 덕을 기려 세운 탑비이다. 선사의

                                 속성은 최씨로 804년 (애장왕5녕)에 당으로 들어가 신감대사 아래에서

                                 계를 받았고 각지를 편력한 뒤 830년 (흥덕왕5년) 신라로 들어와

                                 역대의 왕에게 승앙을 받다가,77세의 나이로 옥천사에서 입적하였다.

                                 헌강왕은 885년에 진감선사대공령탑이라 추시하여 탑비를 새우도록

                                 하였고 정강왕 (886-887 재위)은 옥천사를 쌍계사로 이름을 고쳤다.

                                 이 비석은 887년 (진성여왕1년)에 건림되었다.고운 최치원 (857~?)이

                                 글을 짓고 썼는데 그의 사산비명의 하나로 꼽힌다.

                                 전체 ㄴㅍ이는 363cm,비신의 높이는 213cm, 너비는 약1m,

                                 두께는 22.5cm이다.

                    곱게핀 수국과 연못을 눈에 담고 다시한번 대웅전을 바라본다 .

                           베롱나무와 어우러진 쌍계사는 아름다움의 극치다 .


                                우거진 나무들 사이로 산림욕을 하듯 내려간다 .

                            쌍계사 입구에 있는 찻집이 눈에  띄여 시선이 머문다 .


"산사에서 놀자 " 하루밤좀 종교를 떠나 놀고 마음의 힐링을 하고 싶다 .


'기타사진 ^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산서원   (0) 2019.08.01
안동 화회마을   (0) 2019.08.01
춘향테마파크   (0) 2019.07.21
광한루원  (0) 2019.07.21
지리산 허브밸리   (0) 2019.07.21